국가 내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실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존중, 보호, 실현하는 일차적 책임은 국가에게 있지요. 여러 국가 기관(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이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국가인권기구, 기부국가(donor States), 국제기구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민간부문 모두가 경제적, 사회적, 문화를 권리를 신장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국가기관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옴부즈맨, 국가인권위원회, defensores del pueblo (남미) 같은 국가인권기구 (NHRIs)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신장 및 감시 활동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국가인권기구가 취할 수 있는 조치는 각 기구의 권한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보호하고 신장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권리 침해가 일어난 경우 진정사건을 처리하고, 조사를 실시하고, 관련된 국제인권조약이 이행되고 있는지 감시하고, 국제조약의 국내 적용에 관해 정부에 조언하고, 정책변경을 권고하고, 훈련이나 공공교육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NGO, 사회운동, 지역사회기반 단체들, 인권운동가, 전문가연합 (변호사, 의사, 교사연합 등), 노동조합, 학자, 종교단체 등 시민사회의 다양한 관계자들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 여러 개인과 단체와 함께 활동하면서 이 권리들을 정부가 실현하도록 책임을 묻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날로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국내 및 다국적 민간기업들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실현과 관련된 기초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여전히 국가가 수행해야 할 의무는 이런 민간단체와 기업들이 인권의 규범과 기준을 존중하면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언론은 인권에 관한 공개토론의 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권에 대한 정보를 알리고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현대사회에서 언론의 막강한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만약 언론이 인권 이슈나 규범이나 기준에 대해 민감하지 않은 채로 정보와 이미지를 배포한다면 이것이 인권에 엄청나게 부정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도주의적 지원, 개발원조 및 기타 국제적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부 기관과 정부간조직 역시 국제법이나 그 국가의 국내법으로 부과된 인권 의무를 준수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모든 유엔 회원국과 유엔기구들은 유엔헌장에 명시된대로 국제협력에 있어서 어떠한 차별도 없이 모두를 위해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존중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수혜국이 자국법과 국제법으로 승인한 인권의무 역시 존중하여야 합니다. 국제협력활동 때문에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등 인권을 실현하려는 수혜국의 노력이 훼손되어서는 안되며, 이상적으로는 수혜국의 그러한 노력을 돕고 지원하여야 합니다. 또한 소속 직원, 계약자나 기타 관계자들이 반드시 해당되는 인권 규범과 기준에 맞게 행동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